국내 경제 & 증시
본문 바로가기
정보

국내 경제 & 증시

by Junsh 2025. 6. 15.
반응형

✅ 주간 하이라이트 요약

  • 한국개발연구원(KDI), **2025년 성장률 0.8%**로 하향 전망
  • 수출 증가율 둔화, 글로벌 교역 환경 불안 지속
  • 환율은 1,390원 돌파, 원화 약세에 수입업체 부담 가중
  • 코스피 조정, 코스닥은 반등, 대형주 차익실현 흐름
  • 반도체·2차전지 강세, 방산·건설주는 약세 전환


🏛 1. 국내 경제 동향 정리

📉 1-1. 성장률 전망 하향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을 기존 1.3%에서 0.8%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주요 원인은 ▲건설 투자 부진 ▲민간소비 둔화 ▲글로벌 교역 둔화이며, 2026년에는 1.6%의 회복세를 전망했습니다.

🔹 민간소비 증가율: 2025년 1.1% 예상
🔹 설비투자: 반도체 중심으로 1.7% 성장 기대
🔹 수출 증가율: 2025년 –0.4% → 2026년 +0.5%


🚢 1-2. 무역·통상 흐름

5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로 다시 감소세 전환, 특히 IT 이외 품목(자동차·선박) 부진이 원인입니다.
미국의 對중국 반도체·전기차 관세 강화가 간접적으로 한국의 수출 전망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교역 의존도가 높은 만큼, 글로벌 보호무역 확산은 중장기적인 구조적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3. 환율·금리·유가

  • 환율: 주간 최고 1,394원까지 상승, 원화 약세 가속화
  • 기준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 2.50% 동결 유지, 하반기 인하 여부 관망 중
  • 유가: 두바이유 기준 80달러 부근 등락, 중동 리스크 지속

환율 상승으로 수출 기업에는 호재, 반면 내수기업·수입업체에는 비용 압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2. 국내 증시 흐름 요약

📊 2-1. 지수 등락

지수주간 변화특징
코스피 2,894.62P (-0.8%) 대형주 중심 차익실현
코스닥 769.21P (+1.2%) 바이오·소부장 중심 반등
 

코스피는 최근 한 달간 +9% 이상 상승한 뒤 숨 고르기 양상입니다.
코스닥은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 2-2. 수급 분석

  • 외국인: 코스피에서 순매수 지속, 특히 삼성전자·하이닉스 중심
  • 기관: 반도체·2차전지·방산주 순환 매매
  • 개인: 중소형주 중심 단기 매수, 주말엔 차익 실현 주도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코스피에서 매수 우위를 보였으며, 대형 우량주 집중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 2-3. 테마·업종별 주요 흐름

📈 상승 업종

  • 반도체: 인공지능 서버 수요 증가, 美 수출 기대감 확대
  • 2차전지 소재주: 코스닥 중심으로 재반등, 중장기 성장 기대
  • 건설기계·방산주: 상반기 강세 이후 일부 조정, 여전히 중기 투자 매력 존재

📉 하락 업종

  • 은행주: 고금리 종료 전망 속 이자이익 둔화 우려
  • 건설주: 원자재값 상승 + 분양 경기 침체 동반 압력
  • 유통주: 소비 둔화 우려 및 환율 상승이 이중 부담

🧠 3. 이번 주 투자 전략 제안

단기 전략

  • 지수 상승 피로감 구간: 이익 실현 및 리밸런싱 고려
  • 외국인 수급 동향 관찰: 반도체·전기차 위주 접근 전략
  • 미국 FOMC 위원 발언 일정 등 글로벌 이벤트 주시

중장기 전략

  • 정책 수혜 업종 포트폴리오 구성: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AI 인프라
  • 방어형 자산(배당주, 고ROE 우량주) 포함한 안정적 자산 배치 필요
  • 원화 약세 지속 시 수출주 비중 유지

📅 4. 다음 주 주요 일정 (6/17~6/21)

날짜내용
6/17 한국 6월 수출입 잠정 발표
6/18 미국 FOMC 위원 다수 발언 예정
6/19 한국은행 금통위 회의 (기준금리 결정)
6/20 국내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6/21 코스피200 옵션 만기일
 

✏️ 마무리 정리

이번 주 국내 경제는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수출 재감소, 환율 상승 등으로 복합 불안 요인이 나타났습니다.
그럼에도 증시는 외국인 수급 유입과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견조한 흐름을 유지 중입니다.

📌 투자자에게 중요한 건 ‘균형 감각’입니다.
지금은 시장을 낙관적으로만 보기보다, 실적·수급·정책 변화에 따라 단기 리스크 대응과 중기 성장 포트 구성을 병행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3째주 해외 경제 및 증시  (11) 2025.06.22
글로벌 경제 & 증시  (14) 2025.06.15
금주 해외 경제 & 증시  (4) 2025.05.24
금주 국내 경제 & 증시  (8) 2025.05.24
무역 흑자와 적자  (4) 2025.05.12

댓글